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
페이지 정보
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5-04-30 09:55 조회31회 댓글0건첨부파일
-
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.pdf (1.7M) 0회 다운로드 DATE : 2025-04-30 09:55:52
본문
4. 우리나라 성평등 수준과 추이
□ (총점) 2023년 통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는 65.4점으로 전년(66.2점) 대비 0.8점 하락함.
□ (목표별) 자원의 동등한 접근(85.9점)의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고, 평등한 관계(53.1점), 동등한 권한(32.5점) 순임.
□ (영역별) 7개 영역 중 교육 영역(95.6점)의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고, 전년 대비 소폭 개선 되었지만, 의사결정 영역(32.5점)이
가장 저조함.
※ 교육(95.6점) > 건강(94.2점) > 소득(79.4점) > 고용(74.4점) > 양성평등의식(73.2점) > 돌봄 (32.9점) > 의사결정(32.5점)
○ (상승) 의사결정(1.8점 ↑), 소득(1.1점 ↑), 고용(0.4점 ↑), 교육(0.2점 ↑) 영역은 전년 대비 상승함.
○ (하락) 양성평등의식(6.8점 ↓), 돌봄(0.1점 ↓) 영역은 전년 대비 하락함.
□ (지표별) 전체 23개 중 10개 지표 상승, 7개 지표는 하락, 6개 지표는 전년 동일
○ (상승) 4급 이상 공무원 비율(3.6점 ↑), 관리자 비율(2.6점 ↑), 국민연금 수급률(2.4점 ↑), 법원・검찰・경찰 고위직 비율(2.2점 ↑),
노인돌봄 분담(2.0점 ↑), 고용률(1.8점 ↑), 임금 격차(1.0점 ↑), 국회의원 비율(0.7점 ↑), 평균교육년수(0.2점 ↑), 경력단절여성 비
율 (0.2점 ↑) 등은 전년 대비 상승함.
○ (하락) 가족 내 성역할 고정관념(16.4점 ↓), 여성인권에 대한 인식(3.3점 ↓), 육아휴직 참여(2.3점 ↓), 성차별 경험률(0.7점 ↓),
정규직 비율(0.2점 ↓), 노동시장 직종분리 (0.2점 ↓), 빈곤위험(0.1점 ↓) 등은 전년 대비 하락함.
출처: 여성부, 2024년 국가성평등보고서 중에서 일부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